친애하는 독자 여러분,
1884년 5월에 쓴 「로마에서 보낸 편지」는 교육자 요한 보스코에게 영감을 준 것이 무엇인지를 아주 잘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교육 수도회를 창립한 이가 자신을 따르는 형제들과 그 사명을 이어 가는 이들 가운데 계속 머물고자 해써던 일종의 이야기 형식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파타고니아의 선교사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우리는 그가 결코 지치지 않고 자신을 잇는 이들의 곁에 머무르려 했던 사제-교육자의 동일한 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돈 보스코가 살았던 시대에는 그가 실천했던 교육 방식이 결코 일반적인 것이 아니었습니다. 당시에는 사제들이 청소년들과 섞여 지내고, 그들의 휴식 시간에 함께하며 이른바 시간을 낭비하는것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돈 보스코에게 있어 휴식과 놀이의 공간은 학교 교실 못지않게 중요한 교육의 장이었습니다. 그에게 있어 교육자의 동반은, 자신에게 맡겨진 청소년들 삶의 모든 활동과 순간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습니다.
1884년 5월의 이 교육적 서간은 또한 사제로서 돈 보스코의 인격을 아주 분명하게 드러냅니다. 그 안에서 그는 자신이 꾼 꿈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편지가 쓰인 장소 또한 매우 상징적입니다. 돈 보스코는 그리스도교의 중심지인 로마에서 이 편지를 보냈으며, 그곳에서 그는 교황과 자주 접촉하였습니다. 편지가 쓰이기 시작한 시기도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당시 돈 보스코는 로마에 예수 성심 성당을 건축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었습니다. 교황으로부터 위임받은 이 성당 건축을 향한 그의 충실한 열정과 교육자이자 수도회 창립자로서 자신의 소명에 대한 충실함은 그로 하여금 로마에서 편지를 쓰게 만든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편지는 그가 살레시오회 형제들에게 보여 준 동반의 절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돈 보스코는 꿈 이야기를 통해 종종 놀라운 사실을 전하곤 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교육 원칙을 이와 같은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모든 수고와 헌신이 하나의 사명임을 분명히 하고자 했습니다. 하느님께서 그를 가장 어려운 처지에 있는 청소년들을 교육하도록 보내셨고, 그들이 정직한 시민이자 착한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바라셨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모든 살레시오 기관의 교육자와 협력자들은 자신의 삶이 참여와 친절, 세심한 그리고 지혜로 가득 차야 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합니다. 교육은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사명이며, 언제나 청소년을 삶의 중심에 놓게 만드는 일입니다.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두 번째 독특한 측면은 돈 보스코가 꿈속에서 두 명의 옛 제자와 나눈 대화입니다. 그는 깊은 관심과 안타까운 마음으로 그들에게 친구들을 어떻게 돌보아야 하는지 질문합니다. 그는 파타고니아 선교사들에게 제시했던 전략을 통해 살레시오 학교의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부모와 가족을 복음화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이 점은 그가 청소년들을 얼마나 깊이 신뢰하고 있었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그래서 꿈속에서 그의 옛 제자들은 돈 보스코에게 질문을 던지고 교육 사도의 창립 원칙을 되짚어 줍니다. 그들은 그 원칙을 누구보다고 잘 이해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이는 돈 보스코에게 큰 기쁨이었지만 동시에 그가 느끼기에 그의 살레시오 형제들은 이러한 원칙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장상 신부님의 편지를 학수고대했던 형제들이 「로마에서 보낸 편지」를 받고서 얼마나 진지하게 그 내용을 되새겼을지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로마에서 보낸 편지」가 오늘날까지도 교육학 세계에서 특별한 무게와 의미를 지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입니다. 이 편지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교육자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하나의 "교육적 기쁨의 선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책을 읽는 독자 여러분이 「로마에서 보낸 편지」를 깊이 묵상함으로써 청소년들 가운데 현존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되기를 바랍니다. 청소년들의 삶 안에 함께 있는 모든 교육자는 그들에게 안정감과 신뢰를 선사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청소년은 인정받고 사랑받기를 갈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선규 주교(Luc Van Looy),SDB
겐트 교구장
2009년 5월, 겐트
소개의 글
서문
성 요한 보스코 「로마에서 보낸 편지」
꿈, 1870년 이전의 오라토리오
1884년의 오라토리오
분명하게 표현되는 지혜로운 사랑
교육자들은 놀이 시간의 영혼이다
아모레볼레짜
교육자는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되어야
애정과 신뢰의 날이 다시 돌아오기를
라인하르트 게징 「로마에서 보낸 편지」:돈 보스코 교육학 헌장
편지 작성 배경
수신자, 편집 형태 그리고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내용
실천 교육학에 관한 소논문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영감을 준 인물과 편집자
영감을 준 인물, 돈 보스코
레뮈엔 신부, 편집자
조화로운 협력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직접적 배경
「로마에서 보낸 편지」가 미친 영향
「로마에서 보낸 편지」가 오늘날 갖는 의의
프란츠 슈미트 돈 보스코의 「로마에서 보낸 편지」와 교육과학
편지
역사적 맥락 안에서의 돈 보스코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상황적 배경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교육적 요구 사항
교육적 관계
교육 스타일
사랑과 신뢰
교육 활동의 종교적 토대
도전으로서의 전문성
지속성의 문제
사업의 발전
잃어버린 전문성
「로마에서 보낸 편지」의 어제와 오늘
마르틴 레히너 식사에서 최고의 반찬은 밝은 얼굴이다
돈 보스코가 자신에 대해 털어놓은 고백: 그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느끼고 있었는가?
돈 보스코에게 있어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요구
호소: 돈 보스코는 무엇을 요청하는가?
돈 보스코의 입장은 받아들여질 것인가?
라인하르트 게징 사랑으로
영성이란 무엇인가?
교육 영성이란 무엇인가?
돈 보스코 정신 안에서의 교육 영성을 위한 요소
예수 그리스도, 그리스도의 교육자의 모범
예수님과의 관계에 뿌리내린 교육적 관계
아버지, 형제 그리고 친구
아씨스텐테(assistente)
전체적인 목표: 여러분이 이 세상에서나 저 세상에서나 행복한 것을 보는 것
교육사목공동채
결론
클라우디우스 힐레브란트 어떻게 하면 청소년들이 열정을 갖게 할 수 있을까
두 가지 작은 이야기로 시작하기
여성 교육자 양성 과정에서의 경험
방법에 대한 하나의 제안:「로마에서 보낸 편지」를 넘어 우리 사이에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까
전방위적으로 일하기-실제 교육실습을 통한 접근
활용을 위한 제안
격려
참고문헌
글쓴이 라인하르트 게징
살레시오회 소속 사제로서 신학자이자 사회교육 전문가이며, 2017년부터 살레시오회 독일관구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또한 그는 독일 바이에른 지방의 베네딕트보이에른에 있는 살레시오영성연구소를 총괄하고 있다.
옮긴이 백광현
로마 교황청립살레시오대학에서 청소년사목을 전공했고, 현재 살레시오회 부관구장으로 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