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세상 땅끝까지’ 하느님 말씀을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시리즈 제21권 《요한복음서》가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됩니다.‘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의 새로움
첫째, 가톨릭교회의 성서학자들이 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존중하며 쓴 책입니다.
둘째, 가톨릭교회의 성경 73권 전체의 주해와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담았습니다.
셋째, 성경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교회 구성원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습니다.
넷째, 성경 각 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성서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된 최신판입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제21권은 ‘요한계 문헌 개관’과 ‘요한복음서 입문과 주해’로 구성됩니다.
요한계 문헌 개관
신약성경에서 전통적으로 ‘요한계 문헌’으로 묶이는 다섯 권의 책은 복음서와 서간 세 편 그리고 묵시록입니다. 메리 L. 콜로 P.B.V.M.는 이 책들이 어떻게 ‘요한계’로 불리게 되었는지 검토하기 위하여 누가, 언제, 어디서 그리고 왜 이 글들을 썼는지 살펴봅니다. 또한 요한복음서와 서간들에 나타난 편집의 흔적과 다양한 신학적 강조점을 통해 그 문헌들의 배후에 있는 요한 공동체를 추적하고, 요한계 문헌의 신학적 관점, 복음서와 서간들의 관계, 각 책의 쟁점을 개괄합니다.
요한복음서 입문과 주해
우르반 C. 폰 발데는 요한복음서가 현재의 정경 형태에 이른 과정에 주목합니다. 그러나 문학적 발전 과정을 자세히 다루기보다 신학적 메시지에 집중합니다. 즉, 요한복음서가 제시하는 예수가 누구인지, 그 예수를 무엇이 어떻게 증언하는지, 믿음 혹은 구원에 있어서 성령의 역할, 예수와 아버지와 성령의 관계 등을 살펴봅니다. 편집을 암시하는 문학적 문제에 간혹 주의를 기울이지만, 초점은 복음서 저자의 신학적 의도에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독자는 요한복음서의 심오한 신학적 의미를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약어 _027
요한계 문헌 개관
1. 저자 문제: 외적 증거 _035
2. 저자 문제: 내적 증거 _041
3. 요한 공동체 _043
4. 요한과 유다이즘 _048
5. 신학적 관점 _051
5.1. 말씀과 지혜 _052
5.1.1. 말씀/지혜와 창조 _055
5.1.2. 말씀-지혜 종말론 _058
5.1.3. 요한의 지혜 종말론 _060
5.1.4. 실현된 종말론과 요한의 시간 해석학 _062
5.2. 거처하는 말씀(요한 1,14) _063
5.2.1. 요한의 성전/아버지의 집 _064
5.3. 아들 예수: 계시자이자 구원자 _067
6. 본문의 단일성 _071
7. 요한 1, 2, 3서 _072
8. 저자 혹은 저자들? _073
9. 수신자들 _074
10. 요한 1서의 쟁점 _075
11. 복음서와의 관계 _077
12. 요한 2서와 3서 _078
13. 서간들의 의미 _079
참고 문헌 _081
요한복음서 입문
저자 _085
저술 연대 _086
수사본의 증거 _087
요한복음과 공관복음 _088
요한복음에 대한 기대 _089
요한복음서 이해와 연결된 문제들 _092
학자들이 문학적 문제를 다루는 방식 _092
이 주해서에서 택한 접근법 _094
구조 _095
기본 메시지 _097
어휘의 특징 _097
역사적 상황 _098
요한 1, 2, 3서 _099
요한복음에서 역사와 그리스도교 예언 _102
유다인들: 복잡하고 난해한 용어 _104
이런 발전 과정을 자세히 아는 것이 정말 중요한가? _105
개요 _107
요한복음서 주해
머리글 1,1-18 _113
공적 직무의 시작: 제자들의 믿음 1,19-2,22 _122
성령의 중요성 2,23-4,45 _135
예수가 아버지에게서 받은 두 가지 권한을 보여 주는 담화를 포함한 두 내러티브의 조합 4,46-5,47 _155
성경이 어떻게 예수를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6,1-59 _172
믿지 않는 일부 제자들 6,60-71 _189
예수의 말이 어떻게 그 자신을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7,1-8,59 _192
예수의 일이 어떻게 그 자신을 증언하는지 보여 주는 내러티브와 담화의 조합 9,1-10,42 _213
내러티브와 담화에 대한 최종 관찰 4,46-10,42 _228
라자로의 소생과 예수를 단죄하는 최고 의회 11,1-46 _230
라자로 소생의 여파와 승리를 축하하는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 11,47-12,50 _236
자신의 사람들을 위한 예수의 직무 13,1-17,26 _244
예수의 수난과 죽음 18,1-19,42 _274
빈 무덤과 이어지는 사건들 20,1-29 _290
복음서의 첫 번째 결말 20,30-31 _294
갈릴래아에서 발현한 예수 21,1-24 _294
복음서의 두 번째 결말 21,25 _300
덧붙이는 말 _301
부록: 5-10장의 구성에서 축제의 역할 _302
참고 문헌 _305
옮긴이의 말 _306
글쓴이
요한계 문헌 개관
메리 L. 콜로 Mary L. Coloe P.B.V.M.
복되신 동정 마리아 봉헌 수녀회 소속 수도자로, 호주 멜버른 신학교에서 요한복음서를 중심으로 신약성경을 가르치고 있다. 호주 가톨릭성서협회, 미국 가톨릭성서협회, 성서문헌학회 회원이며, The Catholic Biblical Quarterly의 편집위원이다. 요한복음서 주석서 외 여러 책을 썼다.
요한복음서
우르반 C. 폰 발데 Urban C. von Wahlde
시카고 로욜라 대학교에서 35년간 명예교수로 재직하며, 요한계 문헌 주석서 외 여러 책을 쓰고 50편 이상의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가톨릭성서협회, 성서문헌학회, 신약성경연구회 회원이며, The Catholic Biblical Quarterly의 부편집장을 역임했다.
옮긴이 허규
서울대교구 소속 사제로, 교황청 성서대학(성서학 석사)과 뮌헨 루드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성서신학 박사)에서 수학했다. 2013년부터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에서 성경을 가르치고 있다. 《요한 묵시록 바르게 읽기》 외 여러 책을 썼고, 《어려운 성경의 해석》 외 여러 책을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