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혼돈의 글로벌 시대, 공동체주의를 말하다」, 「신을 만난 이후에: 누미노제 정치와 공동체 변혁」에 이어 출간하는 공동체주의 관련 세 번째 책으로, 글로벌 공동체를 주제로 영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글로벌 공동체에 대한 탐구인 동시에 개인적 차원의 영성적 깨달음을 추구하면서, 학문적 여정의 끝을 글로벌 공동체로 삼게 된 개인적인 배경을 소개하며 자신의 삶에 주인공이 되고자 영적인 깨달음과 학문적 구도를 추구한 과정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현실 세계와 국제관계 연구에서 영성을 공동체 의식과 연결 짓고, 인류가 하나의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잠재력과 가능성을 영성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책이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열린 마음을 확산시키고, 종교 간 대화와 교류를 촉진시키며, 영성의 부흥과 확산에도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책머리에
Ⅰ. 이 책을 쓰는 이유
Ⅱ. 나의 구도 역정
1. 별안간 다가온 미지의 세계
1) 부모님의 죽음
2) 선친과의 조우
3) 만남 이후
2. 구도자로 사는 삶
1) 우연한 구도자
2) 이념으로부터의 자유
3) 미지의 세계 알아가기
3. 운명의 매듭 풀기
1) 운명이란
2) 나의 전생 이야기
3) 과거 업장의 해소
4. 새롭게 열리는 삶
1) 해인
2) 새로운 탄생
3) 나의 은퇴 준비
Ⅲ. 깨달음에 대하여
1. 도란 무엇인가?
1) 개념적 문제
2) 방법론과 유용성
3) 지식의 중요성
2. 죽음과 사후 세계
1) 죽음의 의미
2) 영혼과 사후 세계
3) 자아(ego)의 상승과 하강
3. 의식 세계
1) 의식
2) 의식의 의인화
3) 의식 세계
4. 자아와 마음
1) 자아
2) 마음
3) 영혼과 나
Ⅳ. 깨달음에 이르는 길
1. 해방촌 가는 길
2. 나를 죽여라
1) 자아는 만병의 근원
2) 자아 죽이기
3) 여여하게 존재하라
3. 인생 자체가 도량이다
1) 욕심 버리기
2) 순응하기
3) 사랑하기
4. 깨달은 이후
1) 자유이다
2) 특별한 능력
3) 일상생활에서의 변화
Ⅴ. 깨달음과 학문 세계
1. 깨달은 인생
1) 깨달아도 깨달은 바 없다
2) 좋은 선생 되기
3) 다시 학생이 되어
2. 새로운 학문적 도약
1) 보이는 세계에 대한 이론화
2) 보이지 않는 세계의 수용
3) 영혼 있는 정치과학의 모색
3. 공동체 접근법의 체계화
1) 국제체제 접근법의 경직성
2) 국제사회 접근법의 모호성
3) 공동체 접근법의 유용성
4. 유토피아와 글로벌 공동체
1) 유토피아
2) 코스모폴리타니즘
3) 글로벌 공동체는 유토피아인가?
Ⅵ. 글로벌 공동체가 미래다
1. 인류 공동체 개념의 역사
1) 역사 속의 인류 공동체
2) 국가와 민족주의의 승리
3) 인류 공동체의 재발견
2. 인류 공동체 실현을 위한 대안
1) 세계사회
2) 세계정부
3) 세계연방
4) 글로벌 공동체
3. 공동체 의식과 글로벌 공동체
1) 공동체 의식
2) 의식 공유와 진화
3) 공동체적 실천
4. 글로벌 공동체로 가는 길
1) 글로벌 사회 계약
2) 글로벌 누미노제
3) 글로벌 사랑 나누기
Ⅶ. 영성과 글로벌 공동체
1. 영혼에 대한 심화 탐구
1) 영혼의 구성요소
2) 자동차와 운전자의 비유
3) 영혼과 윤회
2. 영혼과 인간 세상
1) 영혼의 도래와 진화
2) 종교의 시대
3) 르네상스와 계몽주의
4) 물질문명 속의 영성
3. 영성 회복과 인류의 미래
1) 영성 회복이 답이다
2) 종교에서 영성 찾기
3) 자연에서 영성 찾기
4. 결론: 우리가 모두 하나이다
글쓴이 최영종
1982년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1990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98년 미국 워싱턴 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1996년에는 일본 문부성 장학생으로 고베(神戶)대학교에서 연구생으로 재학했으며, 2017년에는 중국 교육부 지원으로 베이징에 있는 외교학원(外交学院)에서 1년간 수학했다.
2003년부터 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2025년 8월 말 정년퇴임을 앞두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동아시아 지역통합과 한국의 선택」(아연출판부, 2003), 「글로벌 한국의 신외교전략」(도서출판 오름, 2008), 「동아시아의 전략적 지역주의: 중-일 경쟁과 중견국가의 역할」(아연출판부, 2016), 「혼돈의 글로벌시대, 공동체주의를 말하다」(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2), 「신을 만난 이후에: 누미노제 정치와 공동체 변혁」(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2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