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느님의 말씀’을 ‘온 세상 땅끝까지’ 충실히 전해 온 ‘성서와함께’ 50주년 기념 프로젝트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의 제10권,
《토빗기·유딧기·에스테르기·마카베오기》이 독자 여러분과 만납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2022년 출간된 The Jerome Bible Commentar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Third Fully Revised Edition의 한국어판으로, 총 33권(성경 입문 3권, 구약성경 14권, 신약성경 11권, 주제별 논문 5권)으로 나누어 출간됩니다.
‘성서와함께’의 희년을 맞아 한국 교회에 내놓는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를 통해 많은 그리스도인이 성경 말씀을 가까이하고, 그 말씀을 바르게 알아듣고 마음에 새겨, 진정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는
첫째, 가톨릭교회의 성서학자들이 교회의 성경 해석 전통을 존중하며 쓴 책입니다.
둘째, 가톨릭교회의 성경 73권 전체의 주해와 관련 주제들을 포괄적으로 담았습니다.
셋째, 성경에 관심이 있는 모든 교회 구성원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되었습니다.
넷째, 성경 각 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성서학의 최근 연구 결과가 반영된 최신판입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제10권은 《토빗기·유딧기·에스테르기·마카베오기》를 담았습니다. 토빗기나 유딧기 그리고 에스테르기는 유다 전통에서 소위 제2성전 시기에 속하며, 마카베오기 상·하권의 배경이 되는 신구약 중간 시기로 자연스레 이어집니다. 이 시기는 여러 문화가 서로 충돌하며 만나는 문화 융합이 이루어지던 때였습니다. 그리하여 언제나 유다인으로서 신원 유지와 주변 환경에의 적응과 동화 사이의 긴장이 중요한 문제였습니다.
존 C. 엔드레스 S.J.가 쓴 <토빗기 주해>는 토비야의 동행자 라파엘 천사를 통해 온 여정을 함께하신 분은 하느님이시라는 사실, 눈을 뜨는 대상은 토빗뿐만이 아니라 모든 등장인물, 더 나아가 독자들이라는 사실을 알려 줍니다.
토니 크레이븐이 쓴 <유딧기 주해>는 유딧이 전형적인 성 역할을 뒤집는, 명실상부 사무엘 이후 등장한 여성 판관임을 보여 주며, 주님을 승리자요 구원자로 선포하고, 그분을 숭배하도록 초대합니다.
아이린 노웰 O.S.B.가 쓴 <에스테르기 주해>는, ‘숨기다’라는 의미를 지닌 히브리어 동사 ‘사타르’를 어근으로 둔 에스테르라는 이름 자체가 이미 이 책이 전하는 신학적 메시지를 함축한다고 이야기합니다. 푸림절에 기념되는 에스테르라는 이름은 숨겨진 하느님 또는 그분 섭리에 대한 실존적 확장의 대명사라는 것입니다.
<마카베오기 주해>는 로버트 도란이 썼습니다. 마카베오기 상·하권은 그리스 문화와 히브리 문화 사이의 충돌이 구체적인 폭력 행사로 이어진 비극적 역사를 다룹니다. 상권이 왕권의 정통성, 예루살렘 도성과 성전 수호에 집중했다면, 하권은 도성과 성전의 존재 이유에 대해 더 깊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하누카 축제일을 지내는 것과 성전 존재 이유인, 예레미야에 의해 숨겨진 계약 궤와 성전 기물들 문제로 시작해서 책의 중심에 놓인 순교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유다 민족이 독립과 종교의 자유를 되찾은 것은 결국 하느님의 도움이었음을 알려 줍니다.
위의 작품들에는 유다교 전통에 뿌리를 두며 그리스도교 전통에서도 점점 더 세밀하게 발전하는 종교적 가르침들이 충분히 배태되어 있습니다.
《21세기 제롬 성경 주해 10: 토빗기·유딧기·에스테르기·마카베오기》를 통해 그 가르침의 길을 따라가 보시기 바랍니다.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_027
약어 _028
토빗기 입문
저술 연대와 배경 _045
본문 _045
장르와 문학적 특징 _047
신학적 주제와 종교적 실천 _047
개요 _048
토빗기 주해
토빗과 그 가족의 시련 1,1-3,6 _053
사라의 시련 3,7-17 _058
여행 준비(토비야와 라파엘) 4,1-5,16 _060
메디아로 여행하다 5,17-6,9 _063
라파엘이 토비야에게 혼인에 대해 조언하다 6,10-18 _065
사라와 토비야의 혼인 7,1-8,21 _066
귀환 준비 9,1-10,13 _071
토비야가 니네베로 돌아오고 토빗이 치유되다 11,1-18 _074
라파엘이 토빗 가족에게 정체를 밝히다 12,1-22 _075
토빗의 찬미가 13,1-18 _077
토빗의 죽음과 유언 14,1-15 _078
참고 문헌 _081
유딧기 입문
본문과 경전성 _085
장르 _086
저자, 저술 장소, 연대 _087
주요 신학적 개념 _088
개요 _089
유딧기 주해
1부 네부카드네자르가 동쪽 지방을 정벌하고 불순종한 서쪽 지방 속국들에 보복하다 _1,1-7,32 093
아르팍삿의 패배 1,1-16 _093
홀로페르네스의 임명 2,1-13 _095
홀로페르네스의 출정과 민족들의 항복 2,14-3,10 _095
전쟁 준비 4,1-15 _097
홀로페르네스와 아키오르의 대담 5,1-6,11 _099
아키오르가 배툴리아로 넘겨지다 6,12-21 _100
홀로페르네스의 전쟁 준비 7,1-5 _101
배툴리아 포위 작전 7,6-32 _101
2부 유딧이 아시리아를 상대로 주님의 승리를 이루다 8,1-16,25 _102
유딧의 등장 8,1-8 _102
유딧이 이스라엘을 구할 계획을 세우다 8,9-10,9ㄱ _102
유딧과 하녀가 배툴리아를 떠나다 10,9ㄴ-10 _103
유딧이 홀로페르네스를 물리치다 10,11-13,10ㄱ _104
유딧과 하녀가 배툴리아로 돌아오다 13,10ㄴ-11 _106
유딧이 적을 섬멸할 계획을 세우다 13,12-16,20 _106
유딧의 결말 16,21-25 _108
참고 문헌 _109
에스테르기 입문
편집사와 저술 연대 _113
문학적 구조 _114
청중 _115
주요 쟁점과 신학적 주제 _115
개요 _116
에스테르기 주해
서문 1,1①-1⑰ _121
에스테르가 왕비가 되다 1,1-2,23 _123
유다인들에 대한 하만의 음모 3,1-15; 3,13①-13⑦ _125
에스테르와 모르도카이가 도움을 간청하다 4,1-17; 4,17①-17 ; 5,1①-1⑮; 5,1-5ㄱ _126
하만의 몰락 5,5ㄴ-8,2 _130
유다인들의 승리와 푸림절 축제 8,3-9,23; 8,12①-12 _133
결문: 모르도카이가 위대한 인물이 되다 9,24-10,3; 10,3①-3⑪ _135
참고 문헌 _137
마카베오기 상·하권 입문
제목 _141
경전성 _142
본문 _143
통일성과 구성 _143
개요 _147
문체 _147
저술 연대 _149
사건들의 날짜 _150
세계관 _158
마카베오기 상권 주해
문제의 시작 1,1-64 _165
봉기의 시작, 마타티아스 2,1-70 _175
유다의 업적 3,1-9,22 _180
요나탄의 지휘하에 시작된 독립 9,23-12,53 _214
시몬의 업적: 시몬의 지휘하에 독립을 쟁취하다 13,1-16,24 _236
마카베오기 하권 주해
이집트에 사는 유다인들에게 보낸 편지 1,1-2,18 _259
머리말 2,19-32 _273
요약 3-15장 _277
맺음말 15,37-39 _351
참고 문헌 _352
옮긴이의 말 _354
글쓴이
<토빗기> 존 C. 엔드레스 John C. Endres S.J.
버클리 산타클라라 대학교 예수회 신학대학의 성경 명예교수로 제2경전/외경 문학, 사해 문서, 역대기, 시편 등에 관해 가르치고 저술했다. 미국가톨릭성서협회 회장을 역임했고, Catholic Bibli–cal Quarterly와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의 부편집장을 지냈다. 교황청 성서연구소 초빙 교수로 재직했고, 2022년 선종했다.
<유딧기> 토니 크레이븐 Toni Craven
텍사스 크리스천 대학교 브라이트 신학대학에서 히브리 성경의 I. Wiley 및 Elizabeth M. Briscoe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Women in Scripture: A Dictionary of Named and Unnamed Women in the Hebrew Bible, the Apocryphal/Deuterocanonical Books, and the New Testament(2001)를 공동 편집했고 여러 책을 썼다.
<유딧기 - 수정> 존 J. 콜린스 John J. Collins
예일 신학대학의 구약성경 비평 및 해석학 교수이며, The An–chor Yale Bible Series의 편집장이다. 히브리 성경 연구뿐만 아니라 묵시 사상, 지혜, 헬레니즘 유다교, 사해 문서 연구로 유명하다. Between Athens and Jerusalem: Jewish Identity in the Hellenistic Diaspora(1983), The Bible after Babel: Historical Criticism in a Postmodern Age(2005) 외 여러 책을 썼다.
<에스테르기> 아이린 노웰 Irene Nowell O.S.B.
Mount St. Scholastica 베네딕도 수녀회 소속 수녀이다. NABRE 구약성경 번역에 참여했으며, 미네소타 칼리지빌 세인트 존스 신학교에서 성경을 가르쳤다. 미국가톨릭성서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Give Us This Day 편집자이다. Sing a New Song: The Psalms in the Sunday Lectionary(1993), Women in the Old Testament(1997), Jonah, Tobit, Judith in New Collegeville Bible Commentary(2015) 외 여러 책을 썼다.
<마카베오기> 로버트 도란 Robert Doran
매사추세츠 앰허스트 대학에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명예교수로재직했다. 신구약 중간기 문학, 특히 유다인의 그리스어 문학작품과 시리아 성인과 순교자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Birth of a Worldview: Early Christianity in Its Jewish and Pagan Context(1999), Stewards of the Poor: The Man of God, Rab–bula, and Hiba in Fifth-Century Edessa(2006), 2 Maccabees: A Critical Commentary(2012) 외 여러 책을 썼다.
옮긴이 이진수
마산교구 사제로 오스트리아 그라츠 칼 프란첸스 대학교에서 마카베오기 4서와 요한묵시록 비교 논문으로 ‘신구약 중간사’ 분야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6년부터 부산가톨릭대학교 교의신학 및 성서신학 교수로 재직했고, 삼계성당(2018-2021), 거창성당(2022-2024)을 거쳐 2025년부터 옥봉동성당에서 사목하며 신학대학에 출강하고 있다. 《성서로 배우는 기초신학》, 《마카베오기 상권》과 《마카베오기 하권》 주해를 썼고, 《나자렛 예수 2》, 《베네딕토 16세 기도》, 《발터 카스퍼 추기경의 가정에 관한 복음》을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