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4월 12일(토) 14시 ]
* 북콘서트 참가접수(무료) : https://forms.gle/kAzeLobPNdjJqLBr7

하느님의 시간을 체험하고
그분께 다가가는 신비한 여정
하느님의 신비를 드러낼 현미경 같은 역할을 한 이탈리아 수도원의 역사와 현재를 이탈리아 성지 순례 가이드인 작가의 유려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으로 전달해 주는 책. 1권에서는 수도 생활의 역사와 성 베네딕토회의 등장과 성장, 수도회의 세속화에 저항한 개혁 수도회들의 등장을 다룬다.
“수도원 안에서의 작은 고독과 침묵의 시간은 현대인들에게 내면의 평화와 삶의 의미를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수도원을 ‘보는’ 법을 알려 줍니다. 수도원은 영성과 지혜가 깃든 장소로, 하느님의 시간을 체험하고 고요 속에서 자신의 신앙을 되새길 수 있는 특별한 장소입니다.”
- 성 베네딕토회 왜관 수도원장 박현동 아빠스의 추천사
순례의 의미를 되새기는
깊고 고요한 성찰의 공간
하느님의 신비를 드러낼 현미경 같은 역할을 한 이탈리아 수도원의 역사와 현재를 이탈리아 성지 순례 가이드인 작가의 유려한 설명과 생생한 사진으로 전달해 주는 책. 2권에서는 길 위의 순례자 영성과 성 프란치스코의 탁발 수도회와 성 클라라회의 등장, 몬테 올리베토 성모 마리아회의 탄생 등을 다룬다.
“이 모든 수도원을 다 방문할 수 있는 독자는 드뭅니다. 하지만 책으로 하는 순례여도 독자들은 감동과 교훈을 누릴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책이 초대하는 수도원 순례를 통해 우리 ‘인생 순례’에 도움이 되는 영성의 길을 만나셨으면 좋겠습니다.”
- 작은 형제회 오학준 신부의 추천사
★ 그의 안내에 따라 수도원을 천천히 둘러보는 순간, 이곳이 단순한 관광지가 아닌 신비의 공간임을 깨닫게 됩니다. - 성 베네딕토회 박현동 아빠스
☆ 매번 같은 분의 안내를 받고 같은 코스를 방문해도 감동이 밀려옵니다. 저자와 함께하는 순례에는 그런 힘이 있습니다. - 작은 형제회 오학준 신부
‘여행’이라는 두 글자는 사람의 마음을 들뜨게 한다. 그 목적지를 어디에 둘 것인지는 차치하더라도, 지금 머물고 있는 장소, 공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곳으로 떠나는 행위는 생각만으로도 설렌다. 하물며 그 설렘이 일상에서 벗어난 미지未知나 두려움에 기인한 것이더라도, 적절한 보상 가령 뛰어난 경치나 산해진미, 편안한 휴식 등이 제공된다면 그 두려움은 언제 그랬냐는 듯 해소되어 버리기 마련이다. 그렇게 돌아온 여행에서 우리는 지금을 살아갈 힘을 얻는다.
수도원 순롓길에 만나는
중세 교회사와 생생한 자료들
이탈리아 수도원 순례라는 주제로 시작한 이 책은 수도원의 역사에 대한 자료뿐만 아니라 중세사와 교회사를 넘나드는 자료를 제공한다. 고대의 그리스·로마 문화라는 뿌리에서 시작한 오늘날 서양 문명의 역사가 절대 왕정과 산업 혁명을 거쳐 근현대 사회에 이를 수 있었던 데에는 중세 천 년 장대한 줄기의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온 중세의 사회·문화는 교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고, 그들이 만나는 지점이 바로 수도회였다. 교황과 황제의 대립이 불러일으킨 경제와 사회의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수도회의 쇠퇴와 개혁이 반복됐다. 『이탈리아 수도원 기행 2 - 하느님께 다가가는 신비한 여정』은 그러한 변화를 톺아보는 생생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1부에서는 길 위의 영성을 다룬 순례자의 이야기와 성 프란치스코 수도회,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과 천사들의 성모 마리아 대성당, 성 클라라의 생애와 그 수도회, 성 다미아노 성당과 성 클라라 대성당을, 2부에서는 몬테 올리베토 수도원과 공동 수도 생활의 시조인 성 베네딕토의 삶 등을 생생한 사진 및 평면도 등을 통해 소개하며, 수도자의 삶을 통해 이탈리아 수도원의 과거와 현재를 조명한다.
“보편적 규칙서로 서방 수도원의 길을 열었던 성 베네딕토와 그의 이름으로 된 수도회들, 세속에 너무 가까이 가려 할 때 은수적 삶을 강조하며 개혁하려 했던 수도회들, 규칙과 수도원 건물보다는 하느님의 섭리와 이웃 사랑으로 살아가려 했던 수도회들, 그리고 다시 초기 성 베네딕토의 영성을 재조명하며 돌아가려 했던 수도회까지, 하느님의 시간 안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했던 귀중한 중세 수도원의 역사를 크로노스의 시간 속에 살펴보려 합니다.” - 들어가는 말
‘왔노라, 보았노라, 찍었노라.’의 여행에서
한 발 한 발 하느님께 나아가는 여행으로
어렵게 떠난 여행에서 사람들은 많은 추억을 안고 돌아온다. 그렇다. 여행은 곧 ‘돌아옴’을 전제로 한 ‘떠낢’이다. 세상 어느 곳으로 가더라도 돌아오지 않는다면 그것은 여행이 아닌 것이다. 즉 떠낢과 돌아옴의 반복인 여행은 언제나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 묶여 있을 수밖에 없다. 신앙을 향한 여정인 ‘순례’의 의미가 특별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신앙의 ‘한처음’을 되돌아보는 여정인 순례는 순간이 아닌 영원을 지향한다. 순례는 현대인들에게 내면의 평화와 삶의 의미를 돌아보게 하고, 순례의 은총은 우리의 삶을 하느님께로 더 가까이 끌어당겨 하느님을 만나는 최고의 복으로 인도한다. 여행이 순간에 묶여 있다면, 순례는 영원을 향한 탄성으로 우리를 하느님 곁으로 옮겨 주는 ‘신비의 여정’인 것이다.
신비의 여정인 수도원 기행,
이탈리아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법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교회의 역사에서 이탈리아는 신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다. 교황청이 있는 바티칸 시티를 품고 있는 곳이고, 역사적으로도 로마 제국의 수많은 유적이 존재하는 곳이며, 가톨릭 교회가 제도 종교로 성립된 후 전 유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장의 발판이 됐던 곳이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중세 천 년의 장구한 시간에 걸친 수도원의 출현과 발전은 교회사나 문화사적으로도 매우 큰 가치가 있으며, 그 주요 무대인 이탈리아의 수도원 기행은 이탈리아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방법이다. 성 베네딕토회 왜관 수도원장인 박현동 아빠스는 이 책의 추천사에서 이탈리아 수도원 기행을 통해 오늘날 우리의 신앙이 새롭게 비춰볼 수 있음을 알려 준다.
“이탈리아를 여행할 때 우리는 로마의 콜로세움이나 바티칸, 베네치아와 피렌체의 아름다운 예술을 떠올리지만, 이탈리아 곳곳에 자리한 수도원들은 그보다 깊고 고요한 성찰의 공간을 제공합니다. … 수도원 안에서의 작은 고독과 침묵의 시간은 현대인들에게 내면의 평화와 삶의 의미를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 박현동 블라시오 아빠스 추천사 중에서

글쓴이 이관술
교황청립 살레시오 대학교 신학부를 졸업하고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성지 순례학 마스터 과정을 이수하였습니다.
풍부한 소유가 아니라 풍성한 존재를 위해 30년째 로마에서 신학자로 그리고 순례자 로 살아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