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학에 대해
가장 체계적으로 정리한 입문서
예수님께서 사도들에게 복음 선포의 사명을 부여하시고 승천하신 후, 사도들은 온 힘을 다해 세계 곳곳에 주님의 기쁜 소식을 전했다. 이 사도들의 뜻을 이어받은 이들이 바로 ‘교부’들이다. 교부는 글자 그대로 ‘교회의 아버지’(敎父)로, 그들은 자신들이 전해 받은 성경과 전승을 통해 그리스도교를 전파하고 교회의 체계를 세웠다. 따라서 신학을 공부하는 이라면 교부들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한다. 그러나 교부와 관련된 내용을 공부하는 것은 만만치 않다. 생소한 이름이나 작품들이 많고, 그들이 쓴 저서는 원어가 그리스어나 라틴어로 되어 있어 접근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학을 공부하는 이들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교부학 도서가 나왔다. 바로 《교부학 입문》이다. 이 책은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20년 넘게 교부학을 가르쳐 온 이상규 신부가 쓴 것으로, 교부들에 대한 모든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신학생은 물론, 교부들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이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쓴 첫 번째 책이기에 교부들에게 거리감을 느낀 사람들도 이 책을 통해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계시 헌장〉에서는 교부들에 대해 이렇게 언급한다. “교부들의 말씀은 믿고 기도하는 교회의 일상 가운데 풍부히 흐르며, 전승이 생생하게 살아 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교회의 전승에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교부들과 그들의 문헌을 아는 것은 하느님의 계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 ‘머리말’ 중에서
교회의 기초를 닦은 교부들을
한눈에 만날 수 있는 책
《교부학 입문》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에서는 교부의 정의와 교부학의 중요한 내용을 배우기 전에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알려 준다. 제2부는 가장 핵심적인 내용으로, 사도 교부부터 시작하여 중세 스콜라 시대에 들어서기 전인 교부 말기까지, 각 시대별 주요 교부들의 생애, 저서, 가르침을 다룬다. 특히 영지주의 이단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여 이단으로 단죄받은 인물들에 대해서도 언급하여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 장의 마지막에는 ‘신학적 반성’ 부분을 통해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교부들의 문헌 양식에 따라 순교 문헌, 수도 생활 문헌, 시문학 등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교부학’이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국내 독자들을 위해 오랜 시간 저자가 준비해 온 최적의 입문서다. 따라서 신학을 공부하는 이라면 이 책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교부들이 복잡한 시대 속에서 어떤 고민을 품고 글을 쓰고 사상을 펼쳐 나갔는지 탐구하다 보면, ‘교부학’을 배우는 차원을 넘어, 우리가 믿는 종교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것이다.
교부들은 진정한 가톨릭 전승(Traditio)을 증언하고 보증해 주는 분들로서 우리 시대의 신학적 문제에도 그들의 지대한 영향력은 계속되며, 권위 또한 계속 발휘된다.
- 본문 중에서
머리말 · 6
제1부 교부와 신학
제1장 교부들의 신학 · 21
1. 성전(聖傳)의 탁월한 증인들인 교부 · 21
2. 교부들과 문화와의 만남 · 26
3. 교부와 교의(dogma)의 발전 · 30
4. 교부들에 의해 전승된 신앙의 ‘통합적 유산’ · 32
5. 현대 신학과 교부학 · 41
제2장 신학 역사 안에서 교부 · 46
1. 성경과 초대 교회에서 사용된 ‘아버지’라는 단어와 ‘교부’ · 46
2. 교부학 본연의 의미로서 ‘교부’라는 개념의 ‘아버지’ · 49
3. 교의 신학적 ‘플로릴레지아’(florilegia)와 ‘교부’ · 53
4. 역사가들의 첫 번째 관심인 ‘교부’ · 54
5. 고대 말기부터 중세 시대의 ‘교부’ · 56
6. 인문주의 시대와 프로테스탄트의 출현과 ‘교부’ · 60
7. 신(新)교부학 시대와 ‘교부’ · 64
제3장 교부학 입문을 위한 예비지식 79
1. ‘교부학’, ‘교부 신학’, ‘고대 그리스도교 문학’ · 79
2. 교부학의 학문적 독립성과 다른 신학 과목과의 관계 · 81
3. 고대 문헌학(Philogia) · 83
4. 교부 시대의 구분 · 88
5. 교부학에서 중요한 거점 도시 · 90
6. 교부들이 남긴 주요 문헌의 종류 · 92
7. 교부들의 언어 · 95
8. 주요 비판본과 번역본 · 101
9. 교부학에 관한 주요 입문서와 참고서 및 그 밖의 보조자료 · 104
제2부 역사 속의 교부와 문헌
제1장 사도 교부 · 111
1. 시대적 상황 · 113
2. 《디다케》 · 115
3. 로마의 클레멘스의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 · 120
4. 위명(僞名)의 클레멘스 문헌 · 123
5. 안티오키아의 이냐티우스가 쓴 7통의 편지 · 126
6.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 · 133
7. 《폴리카르푸스 순교록》 · 134
8.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 136
9. 헤르마스의 《목자》 · 136
10. 위-바르나바의 《편지》 · 138
11. 신학적 반성: 그리스도교의 최초 문헌인 사도 교부 시대 문헌 · 139
제2장 성경과 관련된 문헌 · 143
1. 유다 문헌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다시 읽기 · 143
2. 그리스도교의 신약 정경과 외경 · 149
3. 모방 문학으로서 외경의 기원 · 157
4. 신학적 반성: 그리스도교 신학은 언제 시작되었나? · 163
제3장 2세기 호교 교부: 세상과 그리스도인 · 170
1. 종교 · 171
2. 철학 사조 · 173
3. 초창기 그리스 호교 교부 · 177
4. 호교 문헌의 확산 · 185
5. 신학적 반성: 신앙과 이성 · 186
제4장 영지주의의 도전과 이레네우스 · 190
1. 영지주의 이단 · 190
2. 리옹의 이레네우스 · 206
3. 신학적 반성: 영지주의와 이레네우스의 신학적 역할 · 218
제5장 카르타고와 로마 · 223
1. 카르타고와 아프리카 교회 · 223
2. 테르툴리아누스 · 225
3.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 · 235
4. 로마 · 241
5. 히폴리투스 · 242
6. 노바티아누스 · 244
7. 신학적 반성: 테르툴리아누스의 신학적 기여 · 247
제6장 알렉산드리아의 신학 · 250
1.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 251
2.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 253
3. 오리게네스 · 260
4. 신학적 반성: 알렉산드리아와 아시아 신학의 비교 · 277
제7장 콘스탄티누스의 제국과 교회: 니케아 공의회와 아리우스 이단 · 281
1. 4세기의 호교론 · 283
2.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 · 286
3.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 289
4. 신학적 반성: 니케아의 ‘호모우시오스’와 신학 · 297
제8장 카파도키아 교부: 니케아의 재해석과 수덕 신비 사상 · 301
1. 카이사리아의 바실리우스 · 303
2.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우스 · 310
3.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318
4. 신학적 반성: ‘학문’으로서 신학 · 323
제9장 황금기를 이끈 서방 교회의 위대한 교부 · 326
1.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 327
2.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 331
3. 히에로니무스 · 338
4.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 342
5. 신학적 반성: ‘세기를 관통하는’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 · 369
제10장 안티오키아와 인근 지역의 교부 · 375
1. 예루살렘의 키릴루스 · 377
2. 타르수스의 디오도루스 · 381
3. 요한 크리소스토무스 · 382
4.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 · 387
5. 시리아의 에프렘 · 389
6. 신학적 반성: ‘안티오키아 학파’의 특성 · 391
제11장 5세기 그리스도론 논쟁과 그 주역: 에페소에서 칼케돈까지 · 394
1.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루스 · 396
2.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네스토리우스 · 401
3. 키루스의 테오도레투스 · 404
4. 대(大)레오 교황 · 407
5. 신학적 반성: 네스토리우스와 키릴루스의 입장 비교 · 411
제12장 6세기의 신학자: 칼케돈 공의회 이후 · 416
1. 비잔티움의 레온티우스 · 419
2. 예루살렘의 레온티우스 · 423
3.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 · 427
4. 위(僞)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 432
5. 보에티우스 · 435
6. 카시오도루스 · 438
7. 신학적 반성: 6~7세기의 그리스도론 · 442
제13장 교부 시대 말기 · 447
1. 대(大)그레고리우스 교황 · 450
2. 증거자 막시무스 · 454
3.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 458
4. 다마스쿠스의 요한 · 459
5. 신학적 반성: 교부 시대에서 스콜라 시대로 · 463
제3부 교부학의 문헌 양식에 따른 주제
제1장 순교 문헌 · 473
1. 어원과 역사 · 475
2. 순교에 대한 비그리스도인들의 반응 · 477
3. 순교 문헌의 종류 · 479
4. 순교 신학 · 484
제2장 수도 생활에 관한 문헌 · 489
1. 수도 생활의 기원과 발전 · 489
2. 수도 생활에 관한 주요 인물 · 491
3. 수도 생활에 영감을 주었던 문헌 · 495
제3장 교회의 제반 법규와 전례에 관한 규정집 · 500
1. 《사도 교훈》 · 502
2. 《사도 헌장》 · 502
3. 규정 모음집 · 503
4. 전례 규정집 · 505
제4장 그리스도교 시문학과 작가 · 507
1. 기원 · 507
2. 성경 주해시 · 510
3. 찬미가 · 512
4. 그리스도교 서정시 · 516
5. ‘합성시’와 ‘짧은 경구시(비문)’ · 519
6. 송가와 성인 찬송시 · 521
연대표 · 525
글쓴이 이상규
대전교구 사제. 이탈리아 로마 교황청립 우르바노 대학교에서 교의 신학을, 교황청립 아우구스티누스 대학교에서 교부학을 공부했다. 대전가톨릭대학교 복음과 문화연구소장, 전의·궁동 성당 주임, 정하상 교육회관 관장을 역임했다. 대전가톨릭대학교에서 교부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2023년부터 대전가톨릭대학교 총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교부들과 함께하는 사색》, 《십자가 이야기 - 십자가에 대한 교부들의 통찰》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교부들의 사제 영성》, 《교부들의 성경 주해(신약성경 XI) - 콜로새서, 테살로니카1.2서, 티모테오1.2서, 티토서, 필레몬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