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편람은 흔히 인용되는 교회의 격언들이 어떤 문맥에서 나오는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원 사료 열람에 있어 피해갈 수 없는 시간과 공간적인 한계,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초판 서문
제2판과 제3판 서문
제4판 서문
제5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디다케 혹은 열 두 사도들의 가르침 (80-90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보임)
플라비우스 요세푸스, 37-105년경
황제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41-54년
로마의 클레멘스, 96년경 작성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우스, 107년경 저술
케킬리우스 플리니우스 2세 총독 62-113년
코르넬리우스 타치투스(54-119년)
황제 앨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재위 117-138년
수에톤 트란퀼루스(75-160년)
헤르마스의 목자, 로마 주교 피우스 1세 형제(140-155년?)
순교자 유스티누스, 163-167년 순교
코린토 주교 디오니시우스(=소테리스) (166-174년)
사르데스 주교 멜리토, 169-177년 사이에 저술
리옹 교회, 178년 저술
헤게시푸스, 180년경에 저술
쉴리움 성인들의 순교기록, 180년
스미르나 주교 폴리카르푸스, 순교 155-160년?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재위 161-180년
사제 가이우스, 198-217년 사이에 저술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150-212년경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낸 서한, 2세기 혹은 3세기 저술
클라디우스 갈레누스, 의사 200년 경 사망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아베르키우스
무라토리 단편집, 200년경 저술
디오 카시우스, 230년경 사망
로마의 히폴리투스, 235년 순교
갈리아 오툉의 펙토리우스의 묘비문
오리게네스, 185-255년경
로마 주교 코르넬리우스, 251-253년
카르타고 주교 체칠리우스 치프리아누스(타시우스), 재위 249-258년
성 치프리아누스의 고백과 순교, 258년 9월 14일
폰티우스 부제, 258년 경 저술
카파도키아 카이사레아의 주교 피르밀리아누스, 269년 선종
(중략)
시나이의 아나스타시우스 수도원장, 700년 이후 선종
1108 영성 신부
부제 파울루스 바르네프리디, 약 750년 저술
1109-1110 교황 레오 1세와 아틸라
저자 소개
역자 소개
글쓴이 콘라드 키르흐
1863년 독일 뒤셀도르프의 Viersen에서 출생, 1881년 독일 본과 하이델베르크에서 법학을 공부, 1884년 첫 번째 사법고시에 합격하고, 굼메르스바흐Gummersbach 법원에서 사법 연수생으로 일하다가, 네덜란드 엑사텐Exaten에서 예수회에 입회함. 엑사텐, 펠드키르흐, 영국 디튼 홀, 발켄부르크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 1895년 6월 30일에 사제서품을 받음. 1896년 네덜란드 Wijnandsrade에서 예수회 수련 제3기 회원(Tertiani), 1897년 뮌헨에서 역사를 공부하고, 1899-1925년 발켄부르크에서 교회사와 교부학 교수를 역임함. 1918년 “Aus der Provinz” 정기간행물의 편집자로 일함. 1927년 예수회 북독일 관구의 기록 보관자이며 “Mitteilungen aus den deutschen Provinzen der Gesellschaft Jesu” 편집자로 일함. 1929-1941년 쾰른에 있는 예수회 공동체 카니시우스하우스에서 영성지도 신부로 일함. 1942년 쾨니히스빈터Königswinter에서 선종.
옮긴이 황치헌
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신학학사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대학에서 신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1996년 1월에 수원교구에서 사제서품을 받았으며, 수원교구 철산본당과 이천본당에서 보좌를 지냈다. 독일 뮌헨대학에서 세계교회사를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수원교구 송전본당 주임을 지낸 뒤 수원가톨릭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학생처장ㆍ대학원장ㆍ교무처장ㆍ하상신학원장ㆍ기획관리처장을 두루 역임하였다. 현재 동 대학 도서관장을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