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구약 외경은 구약과 신약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한다. 역사적 시련을 겪으며 더욱 성숙해진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과 신학이 이 작품들 속에 녹아 있다. 제2성전기 후반에 탄생한 이 작품들은 신약성경과 신약 외경에 직간접으로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신약성경에 나타나는 부활 개념, 메시아사상이나 묵시문학적 표현들을 구약 외경을 통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다. 구약 외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당시 유다 백성이 예수님을 어떤 메시아로 기대하고 바랐을지, 그리고 그들이 기대한 하느님 나라와 종말은 어떤 것이었을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신약 외경에 자주 사용된 묵시문학적 기법이나 신비주의적 관점도 구약 외경을 통해 그 이해의 깊이와 폭을 키울 수 있다. 사실 신약을 더욱 풍성하게 이해하기 위해 구약 외경을 연구할 필요성은 많은 학자들이 공감하는 바다.


『구약 외경 1』에 수록된 작품은 다섯 작품이다. 에녹 1서, 솔로몬의 시편, 요셉과 아세넷, 예언자들의 생애,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구약 외경 1』개정판은 2018년에 나온 초판을 개정한 것이다. 초판과 비교해서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작품의 원문을 빼고 우리말 번역만 실었다.

둘째, 우리말을 다듬고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새롭게 편집하였다.

셋째, 해제와 각주에 최신 정보를 추가하였다. 단, 원전 자체를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초판의 지향을 유지하여, 신학과 관련된 내용은 신학사적으로 중요한 요소만 싣는 데 만족하였다.



에녹 1서

총 세권인 '에녹의 책'은 서로 별다른 관련이 없고 저마다 다른 시대, 다른 저자에 의해 저술되었다. 수세기 동안 '에녹의 책'이라 불려온 책이 지금은 '에녹의 첫 번째 책', 간단히 '에녹 1서'라 불린다. 이 책은 '에티오피아어 에녹서', '에티오피아어 에녹 묵시록'이라고도 한다.


솔로몬의 시편

솔로몬의 시편은 총 열여덟 편으로 된 시 모음이다. 첫째 시편을 제외한 나머지 열일곱편에 솔로몬의 이름이 붙어 있어 이 제목으로 부르지만 열여덟 편 모두 솔로몬이나 그가 통치하던 시절과 관련이 없다.


요셉과 아세넷

창세 41,45에는 파라오가 온의 사제 페테프레스의 딸 아세넷을 요셉에게 아내로 주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익명의 저자는 요셉과 아세넷의 결혼을 둘러싼 이야기를 길게 확장하여 일종의 연애소설로 만들었다.


예언자들의 생애

"예언자들의 이름. 그들은 어디 출신인가, 그들은 어디서 어떻게 죽었는가, 그리고 어디에 묻혀 있는가." 이 책의 첫 문장이 전체 구성과 내용을 요약하여 보여 준다. 실제로 이 책은 구약성경 예언서의 주인공에 해당하는 예언자들의 삶과 죽음을 앞의 첫 문장에 언급된 정보 순으로 전한다.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는, 아리스테아스가 자기 형제 필로크라테스에게 보낸 편지글로서 칠십인역 작업을 둘러싼 일들을 담은 작품으로 유명하다. 아리스테아스의 편지는 '칠십인역'이라는 명칭의 기원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초판 펴내며 · 4
개정판 펴내며 · 6
서문  구약 외경, 구약과 신약 사이 · 10


1. 묵시 문학
 1. 묵시 문학의 주요 용어 · 52
 2. 묵시 문학의 원천 · 59
 3. 묵시 문학의 발전 · 60
 4. 그리스도교 묵시 문학 · 63

에녹 1서
 1. 작품 구조 · 69
 2. 본문들 · 70
 3. 원문에 사용된 언어 · 72
 4. 저술 시기와 장소 · 72
 5. 역사적 중요성 · 73
 6. 신학적 중요성과 주요 테마 · 75
 7. 에녹 1서 · 86


2. 시편 문학

솔로몬의 시편
 1. 필사본 · 168
 2. 원문의 언어 · 169
 3. 저술 시기 · 170
 4. 저술 장소와 저자 · 173
 5. 신학 · 176
 6. 신구약성경과의 관계 · 182
 7. 신학적 의의 · 184
 8. 솔로몬의 시편 · 186


3. 설화와 전설

요셉과 아세넷
 1. 작품 구조와 줄거리 · 250
 2. 본문과 원어 · 253
 3. 저술 시기와 장소 · 254
 4. 신학적 의의 · 255
 5. 요셉과 아세넷 · 258

예언자들의 생애
 1. 본문 · 308
 2. 원어 · 309
 3. 저술 시기와 장소 · 309
 4. 신구약성경과의 관계 · 311
 5. 신학적 의의 · 312
 6. 예언자들의 생애 · 315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1. 작품 줄거리 · 349
 2. 저술 시기 · 351
 3. 저술 목적 · 353
 4. 저자 · 356
 5. 신학과 윤리 · 357
 6. 역사적 의의 · 361
 7. 아리스테아스의 편지 · 363


부록 
참고 문헌 · 442
찾아 보기 · 453


글쓴이 송혜경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서울 가톨릭대학교 신학과를 졸업한 다음, 로마성서대학에서 성서학(2003년) 석사학위와 고대근동학 석사학위를(2004년)받았다. 이어서 시나이의 아나스타시우스의 작품 「시편 6편에 관한 강론」의 콥트어 필사본을 만들고 번역, 주석하여 고대 근동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008년). 현재 한님성서연구소에서 수석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에 「신약 외경 상권: 복음서」(제14회 가톨릭학술상 연구상 수상)「신약 외경 하권: 행전, 서간, 묵시록」「신약 외경 입문 하권: 신약 외경 각론」이 있고, 옮긴 책에 「필론 입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