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오늘날 인간의 몸은 ‘소비’의 대상, ‘쾌락’의 도구가 되어버렸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몸은 ‘선물’이며, ‘사랑’을 위한 도구입니다.


‘몸의 신학’은 聖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우리에게 남겨 주신 가장 소중한 선물입니다!


‘몸의 신학’에는 인간의 인격, 몸과 성, 혼인, 부부관계, 정결에 대한 새롭고도 놀라운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특별히, 이 책에서는 聖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을 『사랑과 책임』,「가정 공동체」, 「여성의 존엄」, 「가정 교서」등 가톨릭교회의 주요 가르침을 통해서 만납니다.


윌리엄 E. 메이는 내가 만난 놀라운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분명한 견해와 지성은 나에게 깊은 흔적을 남겼다. 나는 이 책을 읽는 동안 사고의 지평을 넓혀 주었던 그의 강의시간으로 다시금 되돌아간 듯싶었다. 그는 우리가 오랫동안 기다려왔던 이 책을 저술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인물이다. 
∷크리스토퍼 웨스트Christopher West(몸의 신학 연구소)
 
저자는 그동안 사회적으로 가치 절하되어 왔던 인간의 몸과 성, 사랑을 혁신적으로 복구하려 했던 요한 바오로 2세를 연구해 오고 있다. 성인의 가르침에 대한 깊은 이해가 담긴 이 책은 오늘날 ‘사랑의 부르심 안에 새겨진 아름다움과 품격을 찾고자 하는’ 모든 이에게 좋은 동반자가 될 것이다.
∷칼 앤더슨Carl Anderson(콜럼버스 기사단)


머리말


Ⅰ. 카롤 보이티야의 『사랑과 책임』
: ‘몸의 신학’과 관련된 주제
제1장 인간과 성욕
제2장 인간과 사랑
제3장 인간과 정결
제4장 창조주를 위한 정의로움
제5장 성 그리고 윤리


Ⅱ. 『가정 공동체-현대세계의 그리스도인 가정의 역할에 관하여』와 ‘몸의 신학

제1장 「가정 공동체」 제2부
혼인과 가정에 대한 하느님의 계획(11~16항)
제2장 「가정 공동체」 제3부 
그리스도인 가정의 역할(17~64항)


Ⅲ. 『요한 바오로 2세의 몸의 신학-남자와 여자로 그들을 창조하셨다』
: ‘몸의 신학'에 관한 요한 바오로 2세의 교리교육

1. ‘몸의 신학’의 두 가지 목적, 구조 그리고 논점
2. 하느님의 계획 안에 자리한 몸의 혼인유대적 의미
   (1-23; 제1부 제1장)
3. 욕망에 맞서는 몸의 혼인유대적 의미
   (24-63; 제1부 제2장)
4. 부활로 이루어지는 혼인과 몸의 
혼인유대적 의미의 완성
   (64-86; 제1부 제3장)
5. 성사 안에 놓인 몸의 혼인유대적 의미의 역할
   (87-133; 제2부 제1,2,3장)


IV. 『여성의 존엄』과 『가정 교서』

「여성의 존엄」(Mulieris Dignitatem)

「가정 교서」(Gratissimam Sane)


글쓴이 윌리엄 E. 메이 William E. May

미국 가톨릭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에서 오랫동안 윤리신학을 가르쳤다. Marriage: The Rock on which the Family Is Built(혼인: 가족의 주춧돌)와 Catholic Bioethics and the Gift of Human Life(가톨릭 생명윤리와 생명의 선물)를 비롯한 여러 책을 저술하였다. 현재는 생명문화재단의 선임연구원으로 일하면서, 혼인과 가정을 위한 교황청립 요한 바오로 2세 학교에서 윤리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옮긴이 김한수 신부 
서울대교구 소속으로 2000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