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축소가 가능합니다.

닫기

1784년부터 1910년까지의 한국천주교회의 역사를 적은 책이다.

천주교의 동아시아 선교를 시작으로 한국 천주교회의 시작과 박해 그리고 박해시기의 교회의 발전에 대한 내용을 폭넓게 담고 있다.

또한 박해가 끝난 후 교회의 재건과 정착을 지나 이후 개신교와의 갈등, 민족운동과 천주교회 그리고 일제시대의 한국교회의 모습까지, 천주교 신자라면 알아야 할 한국천주교회사의 큰 줄거리들을 쉽게 정리했다.



1부 한국 천주교회의 시작


I. 천주교의 전래와 수용


1.천주교의 동아시아 선교

1) 일본 성교

2) 중국 선교

 

2.천주교와 조선의 만남

1) 일본과 조선 천주교

2) 중국과 조선 천주교

 

II. 조선 천주교회의 설립과 운영


1. 이승훈의 세례와 교회 설립

1) 주어사 강학

2) 이승훈의 세례와 신앙공동체의 형성

3) 천주교의 지방 확산

 

2. 평신도의 교회운영

1) 명례방 사건과 김범우

2) 평신도 성직제도와 정미반회사건

3) 윤유일의 북경 파견

4) 진산사건과 신해박해

 

3.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활동

1) 주문모 신부의 입국

2) 윤유일·지황·​최인길의 순교 - 을묘사건

3) 회장제의 시행

4) 명도회의 설립

5) 정사박해

 

4. 여성 신자들의 활동

 

5. 신자들의 신앙생활

1) 입교

2) 교회 서적의 보급과 교리 학습

3) 첨례

4) 신심생활

 

III. 정조의 서학정책과 신유박해

 

1. 정조의 서학정책

1) 유교의 가르침과 천주교

2) 정조의 서학관

 

2. 신유박해

1) 박해의 원인

2) 박해의 과정

3) 박해의 종식


2부 대목구의 설정과 시련 속의 발전


​I. 교회의 재건과 조선대목구 설정 


1. 교회의 재건

1) 교우촌의 형성

2) 신앙생활의 재개

3) 성직자 영입운동

 

2. 지방의 박해

1) 을해박해

2) 정해박해

 

3. 조선대목구의 설정

1) 설정 과정

2) 대목구와 선교보호권(Padroado)

3) 초대 대목구장 브뤼기에르 주교

 

4. 선교사의 입국과 활동

1) 모방 신부와 샤스탕 신부

2) 앵베르 주교

 

II. 기해·​병오박해와 한국인 사제의 탄생


1.기해박해

1) 원인

2) 과정

3) 결과

 

2. 김대건 신부와 병오박해

1) 신학생 김대건

2) 사제 서품과 입국

3) 체포와 병오박해

 

3. 페레올 주교의 활동

1) 성모성심회의 설립

2) 순교록 작성

 

4. 증거자 최양업 신부

1) 신학생 최양업

2) 사제 서품과 입국

3) 활동

 

III. 1850 ~ 60년대 교회의 체재 정비와 활동


1. 체제 정비

1) 베르뇌 주교의 입국

2) 주교 서품식과 시노드 개최

3) 사목 구역의 설정

4) 선교 지역의 확대

 

2. 교회의 활동

1) 신학교의 설립

2) 성영회(영해회) 사업

3) 전교회 조직

4) 시복 작업과 순교록 작성

5) 저술 활동과 인쇄소 설립

 

3. 신자들의 신앙과 삶

1) 입교 동기와 과정

2) 신앙생활

3) 경제 기반

 

IV. 병인년 ~ 신미년의 박해

 

1. 정치 상황의 변화

 

2. 병인년 박해

1) 원인

2) 과정

 

3. 병인양요

1) 프랑스군의 침공

2) 박해의 재개

 

4. 오페르트 사건과 무진박해

1) 남연군 묘 도굴 사건

2) 박해의 격화

3) 사건 관련자들의 처벌

 

5. 신미양요와 박해

 

6. 박해의 종결

1) 체포자와 순교자

2) 순교지

 

3부 개화기의 한국 천주교회


I.선교사의 재입국과 교회의 재건

 

1. 선교사의 재입국

1) 선교사들의 중국 활동과 리델 주교

2) 블랑 신부와 드게트 신부의 입국

 

2. 리델 주교의 입국과 추발

 

3. 블랑 주교의 활동

1) 대목구장 승계

2) 학교의 설립과 신학생 교육

3) 기해·​병오박해 순교자 시복 추진과 유해 이장

4) 시노드 개최와 지도서 간행

5) 사회복지사업과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초청

6) 인쇄소와 출판 활동


II. 조불조약의 체결과 교회의 정착

 

1. 조불조약의 체결

1) 체결 과정

2) 조약의 의미

3) 호조

 

2. 교세의 변화

 

III. 교회의 발전과 갈등


1. 뮈텔 주교의 활동

1) 제8대 조선대목구장 임명

2) 고종과의 만남

3) 명동 성당의 설립

4) 병인박해 순교자 시복 추진

5) 교세의 확대

6) 한국인 신부의 서품

7) 《사사성경》의 간행

 

2. 교안의 발생

1) 교안 현황

2) 조약과 협정

 

3. 개신교와의 갈등

1) 개신교의 진출과 활동

2) 경쟁과 갈등

 

4. 민족운동과 교회

1) 동학농민전쟁

2) 독립협회와 의병 활동

 

IV. 통감부 시대의 한국 교회


1. 을사늑약과 교회

1) 을사늑약

2) 교회의 정교분리정책

 

2. 애국계몽운동과 교회

1) <경향신문>의 창간

2) 교육 활동과 베네딕도회의 진출

3) 국채보상운동

 

3. 안중근의 의거

1) 생애

2) 하얼빈 의거

 

참고문헌

찾아보기


글쓴이 방상근

내포교회사연구소 연구위원. '19세기 중반 한국 천주교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재)한국교회사연구소의 연구실장을 지냈다. 세종대, 경희대, 가톨릭대(성신), 충남대에서 강의했으며,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역사 및 고문서 위원으로 활동했다.

저서로는 《19세기 중반 한국 천주교사 연구》,《왜 천주교 박해가 일어났을까?》,《한국천주교회사》(1권,3권,5권 공저) 등이 있으며, 박해시대 천주교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을 썼다.